[Linux] Prompt 관리

Linux 2017. 12. 5. 09:25

0. Ref

 Item

 Ref. Url 

 Setting

 http://www.thegeekstuff.com/2008/09/bash-shell-ps1-10-examples-to-make-your-linux-prompt-like-angelina-jolie/


 Colorhttps://www.cyberciti.biz/faq/bash-shell-change-the-color-of-my-shell-prompt-under-linux-or-unix/ 




1. Basic configuration

1. Display username, hostname and current working directory in the prompt

The PS1 in this example displays the following three information in the prompt:

  • \u – Username
  • \h – Hostname
  • \w – Full path of the current working directory
-bash-3.2$ export PS1="\u@\h \w> "

ramesh@dev-db ~> cd /etc/mail
ramesh@dev-db /etc/mail>



2. Setting

(1) Open bash
vi ~/.bashrc


(2) add PS1

...

PS1="\e[0;32m[giggs@\w]$ \e[m"

export PS1 

...

ex)

save image


(3) reload bash

source ~/.bashrc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Debug] Hung task  (0) 2018.01.31
[Linux][init] Module init  (0) 2018.01.25
htaccess 에서 extention 없애기  (0) 2016.02.22
아파치 rewrite module 켜서 .htaccess 활성화하기(우분투 기준)  (0) 2016.02.22
[Proxy] pear proxy 설정  (0) 2016.02.18
Posted by kissuu
,

Safety란?

차차차/Safety 2017. 9. 26. 12:39

functional safety? harm? hazard? failure? malfunction? 도대체 뭘까?

알아보자



1. Functional Safety


save image

  • Fault makes Failure.
  • It can cause Malfunction.
  • Malfunction leads to Hazard.

결함(Fault)는 고장(Failure)를 만들고, System Level(ECU Level)에서의 Failure는 Function 단위(Item Level)의 오동작(Malfunction)을 야기시킨다.

이 오동작은 Hazard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Hazard가 User와의 Interaction에 의해 사고(Accident)로 이어지면, User에게 Harm을 줄 수 있다.

Functional Safety란, 

결함(Fault)가 User에게 Harm을 줄 수 있는 Hazard로 발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Fault에 Safety Mechanism을 추가하여

 1. Fault가 제거되거나 -> ex) Another ECU

 2. Fault가 완화(Mitigation) -> ex) 90% mitigation을 위해 CRC 적용



Term

In Vehicle level


 Fault

 Brake System의 SW Stuck 

 

 Failure

 Brake System 동작 안함 

 

 Malfunction

 제동 Signal을 받아도, 제동이 되지 않음 

 
 Hazard

 주행중 제동 Signal의 Loss

 

 Hazardous Event

 주행중 정차를 위한 제동이 되지 않음

 

 Harm

 사고로 인한 Driver의 사망

 
 Functional Safety

 Prevent Loss of Brake Control Event 

 



그럼 어떻게 Loss of Brake control Event를 방지할 수 있을까?

ISO-26262 에 따라 Safety Activity를 하면 된다.



2. ISO-26262란?

자동차 전기/전자시스템(E/E system)의 오작동 행위(Malfunction behavior)에 따른 Hazard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비합리적인 위험(unreasonable risk)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차 분야의 안전 규격



그럼 어떻게 ISO-26262에 근거하여 Safety 활동을 진행할까?

표준에 따라서 활동을 진행하면 된다. 말은 참 쉽다.


3. ISO-26262 전체 구조


save image







http://tqms.co.kr/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ISO_26262_%ED%91%9C%EC%A4%80%EC%9D%B4%ED%95%B4_%EB%B0%8F_CMMI_%EA%B8%B0%EB%B0%98%EC%9D%98_%EA%B8%B0%EB%8A%A5_%EC%95%88%EC%A0%84%EC%84%B1_%ED%86%B5%ED%95%A9_%ED%94%84%EB%A1%9C%EC%84%B8%EC%8A%A4_%EA%B5%AC%EC%B6%95.pdf



'차차차 > Safe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ITA]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자동차 보안  (0) 2017.12.12
Posted by kissuu
,

Windows 잔상오류

소소한 Tip 2017. 9. 25. 22:40

Ref: http://loveash.kr/1883


[ 임시 해결책 ]


이 문제가 Desktop Window Manager Session Manager의 문제중 하나라는 점에 착안해서 


이 서비스를 끄면 잔상이 없어지고, 그 이후에 다시 서비스를 시작...


net stop uxsms

net start uxsms





외국에는 이 방법을 배치파일로 만들어서 잔상 생길때마다 배치파일 실행하시는 분도 있었더라구요^^


예전의 저처럼 모니터를 껐다켰다 하는것보다는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지요?^^







그러나, 이 명령어로 해결하는건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었습니다. 


이 명령어가 즉각 효과를 보이지만, 좀 하다보니 또 고스팅 현상(잔상)이 생겨나더라구요~


그래서 궁극적인 해결방법을 소개합니다.


바로 윈도우의 시각효과를 끄는 것입니다.





그림처럼 윈도우 제어판-시스템-고급시스템 설정-성능-설정-시각효과-로 들어가셔서  "클릭후 메뉴항목 천천히 지움"을 언체크 하시면 됩니다.




외국의 여러분들이 이 방법으로 완전히 고쳐졌다고 하였으며, 저 역시 아직까지 고스팅 현상이 나타나지 않네요!!


와우....


물론, 아마도 근본적인 문제는 그래픽 카드의 호환 문제에서 나타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그래서 하드웨어교체가 답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컴퓨터를 교체해도 (회사컴이라 같은 모델로만 교체가 가능하였음) 계속 나타나므로  현재는 이 방법으로 해결이 된다면 최적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메뉴항목 천천히 지움이 꼭 필요한 항목이 아니라서 더욱 다행이구요^^



또, 이후에 잔상 현상이 나타난다면 이젠 포기해야지요?^^



저와 같은 현상을 겪고 있는 분들, 해결책이 없어서 답답해 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길 바랍니다...



출처: http://loveash.kr/1883 [Ash™ Style....]

Posted by kissu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