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3건

  1. 2016.02.17 [Ubuntu]Apache 설치
  2. 2016.02.17 [Ubuntu]14.04 원격접속 - xrdp
  3. 2016.02.16 Ubuntu 14.04 - Network restart
  4. 2016.02.01 [Google]Cloud Test Lab
  5. 2016.01.05 ISA
  6. 2015.12.07 중도금 이자 후불제
  7. 2015.12.02 분양권 전매 절차
  8. 2015.12.02 인천 SK sky View 분양권 전매
  9. 2015.09.01 [VI]Settings
  10. 2015.08.19 백발이 성성한 프로그래머는 없다

[Ubuntu]Apache 설치

Linux 2016. 2. 17. 10:54

Reference : http://blog.simplism.kr/?p=2498




아래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아파치 설치가 완료됩니다.

  1. <strong>$ sudo apt-get install apache2</strong>

패키지를 다운받아서 설치를 완료하면, 자동으로 아파치 웹서버까지 실행합니다.

  1. * Starting web server apache2 apache2: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1.1 for ServerName

아파치 서비스가 자동으로 올라오면서 위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위와 같은 메시지는 아파치의 서버명이 설정되지 않아서 출력하는 것으로 [Ubuntu 10.04 LTS/Server] Apache2 Server Name 설정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꼭, 도메인으로 설정하지 않고 설정할 것이 없다면 127.0.0.1로 ServerName을 설정하셔도 됩니다.)


03. 서버상태 체크

아파치 웹서버가 정상적으로 기동 중인지 체크하려면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service 명령어 이용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데… 아래처럼 테스트하시면 됩니다.

  1. <strong>$ sudo service apache2 status</strong>
  2. Apache2 is running (pid 1050).

만약 아파치 웹서버가 기동 중이지 않다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뱉을 것입니다.

  1. Apache2 is NOT running.

/etc/init.d/apache2 이용

/etc/init.d 하위에 있는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방식인데… 결국 service 명령어로 호출하는 것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물론 결과도 동일하게 나올 것입니다.

netstat 명령어 이용

네트워크 커넥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이용하면 마찬가지로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strong>$ sudo netstat -lntp | grep apache2</strong>

만약에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아래와 같은 형태로 출력이 될 것입니다.

  1. tcp        0      0 0.0.0.0:80              0.0.0.0:*               LISTEN      29649/apache2

만약에 아파치 웹서버 서비스가 올라와 있지 않다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을 것입니다.


04. 디렉토리 셋팅

이제는 디렉토리를 셋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하는 것은 /archive로 모든 데이터파일을 집중시키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설정파일 위치변경

원래 아파치 설정파일들이 위치하는 경로는 /etc/apache2입니다. 그 파일들을 전부 /archive/.conf 하위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작업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etc/apache2를 /archive/.conf에 통째로 복사
  2. /etc/apache2를 백업 (/etc/apache2_original)
  3. /etc/apache2 심볼릭링크를 만들어서 /archive/.conf/apache2와 연결
  1. <strong>$ sudo cp -R /etc/apache2 /archive/.conf</strong>
  2. <strong>$ sudo mv /etc/apache2 /etc/apache2_original</strong>
  3. <strong>$ cd /etc</strong>
  4. <strong>$ sudo ln -s /archive/.conf/apache2 apache2</strong>

위 처럼 작업하면… 설정파일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하면서, 실제 파일은 /archive/.conf/apache2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두면 /archive 파티션만 잘 백업해두면 최악의 상황에서도 우분투를 설치하고 /archive 디렉토리만 복원한 뒤에 심볼릭링크로 연결만 해주면 설정을 복구할 수 잇는 것입니다.

웹서버 디렉토리 변경

아피치 웹서버의 웹서비스 대상이 되는 파일이 위치하는 곳은 /var/www입니다. 이것도 역시… /archive 디렉토리에 옮겨야 합니다. 설정파일을 옮긴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옮기면 됩니다.

  1. /var/www 디렉토리를 백업한다. (/var/www_original)
  2. /var/www 심볼릭링크를 만들어서 /archive/web 디렉토리에 연결한다.
  1. <strong>$ sudo mv /var/www /var/www_original</strong>
  2. <strong>$ cd /var</strong>
  3. <strong>$ sudo ln -s /archive/web www</strong>

굳이 번거롭게 이렇게 하는 이유는… apache2 설정파일에서 /var/www와 관련된 설정을 바꾸는 것보다는 그냥 기본 설정위치인 /var/www를 심볼릭링크로 바꿔서 셋팅하는 편이 더 편하기 때문입니다.

웹서버 재기동

이제는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서 변경된 내용들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아파치를 재기동해보겠습니다.(단지 심볼릭링크만을 변경한 것이긴 하지만… 혹시 모르니…ㅋ)

  1. <strong>$ sudo service apache2 restart</strong>

정상적으로 아파이 웹서버가 올라오고, 서버 상에서 웹브라우저를 열어서 http://127.0.0.1/로 접속해서 It Works! 가 나타나면, 정상적입니다.

05. 마치면서…

이제는 php랑 mysql만 설치하면, 리눅스서버의 기본셋팅이라고 할 수 있는 LAMP 셋팅을 마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왠만한 php 애플리케이션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겠죠?ㅋ

Posted by kissuu
,

1. sudo apt-get install xrdp

  (여기까지만 수행하고 원격 접속해 보면 회색 화면만 보게 된다.)

2. sudo apt-get install xfce4

3. sudo nano /etc/xrdp/startwm.sh

. /etc/X11/Xsession를 삭제 또는 주석 처리(맨앞에 #추가)하고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bin/sh

if [ -r /etc/default/locale ]; then
  . /etc/default/locale
  export LANG LANGUAGE
fi

#. /etc/X11/Xsession
. /usr/bin/startxfce4

 

4. sudo /etc/init.d/xrdp restart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 rewrite module 켜서 .htaccess 활성화하기(우분투 기준)  (0) 2016.02.22
[Proxy] pear proxy 설정  (0) 2016.02.18
[Ubuntu] Memory 부족  (0) 2016.02.17
[Ubuntu]Apache 설치  (0) 2016.02.17
Ubuntu 14.04 - Network restart  (0) 2016.02.16
Posted by kissuu
,

Turns out this is a "feature". The only supported way of restarting an interface in Ubuntu Server is 


sudo ifdown eth0 && sudo ifup eth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 rewrite module 켜서 .htaccess 활성화하기(우분투 기준)  (0) 2016.02.22
[Proxy] pear proxy 설정  (0) 2016.02.18
[Ubuntu] Memory 부족  (0) 2016.02.17
[Ubuntu]Apache 설치  (0) 2016.02.17
[Ubuntu]14.04 원격접속 - xrdp  (0) 2016.02.17
Posted by kissuu
,

Multiple ways to start tests

You can choose how to initiate testing of your app:

  • The Android Studio plugin lets you test your app right from your development environment.
  • The command line interface lets you run from the command line interactively, and is also well suited for scripting as part of your automated build and testing process.
  • The web UI built into the Google Developers Console enables you to upload an app binary and initiate testing from anywhere.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testlab/mobile/run/robo?project=devbang-1118




'잘좀하자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주석  (0) 2016.06.30
[TERM] Front-end & Back-end  (0) 2016.02.22
[VI]Settings  (0) 2015.09.01
[PHP] OOP로 다가가자 - eclipse PDT include path 하기  (0) 2015.08.18
Regular Expression  (0) 2015.07.04
Posted by kissuu
,

ISA

그래서 집 사겠냐 2016. 1. 5. 13:34

ISA란?

Ref. 

 1. http://cafe.naver.com/minecraftmodcreators/20475

 2. http://cafe.naver.com/105dvil/4080



1. ISA

(1) Individual Savings Account

 - 예금, 적금, 펀드, 보험 등 개별적으로 가입한 금융상품의 계좌를 하나로 묶어 일정 기간 보유하면서 발생한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

 - 개인 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도 불려 집니다.

(2) History

- 처음 시작은 영국에서 1999년도에 시작

- 일본에서 도입 후(NISA)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엄청난 성공을 거둠


2. 장점

- 다양한 상품의 계좌를 하나로 묶어 사용하기 때문에 관리의 편리성이 높다

- 일정금액 만큼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중도 해지에 따른 세금감면분 반납 부담도 덜 수 있다

 ex) 은행의 금리가 낮아 주식형 펀드로 갈아타도 기존 은행 이자에 대한 세금 감면분을 반납할 필요 없이 주식형펀드 수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새로 받을 수 있다

- 상품 가입 시 소비자 입장에는 세재혜택 여부를 살펴볼 필요 없이 수익성과 안정성만 따지면 됩니다.



3.Condition

- 가입의무기간은 5년 / 연간 2000만원 한도로 사용

 (비과세 상품으로 유명한 재형저축, 소장펀드의 후속편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듯)

-  if (소득 5천만원 이하) 

   then 

     (1) 의무가입기간 5년 --> 3년으로 축소

     (2) 비과세 200만원 --> 250만원

                         





'그래서 집 사겠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정말?  (0) 2016.02.22
중도금 이자 후불제  (0) 2015.12.07
분양권 전매 절차  (0) 2015.12.02
인천 SK sky View 분양권 전매  (0) 2015.12.02
Posted by kissuu
,


ref : http://rudrn85.tistory.com/41



아파트를 분양받게되면 계약금부터 중도금, 잔금을 납부

중도금은 보통 대출을 많이 받으십니다.

이 중도금대출에 대한 이자를 아파트 공사기간에는 납부하지 않고, 준공완료가 되어 아파트 입주하게 되었을 때-

중도금 대출이자를 한꺼번에 납부하는 방식을

중도금 이자후불제 라고 하는데요.

보통 아파트 준공일이 3년은 소요되니, 이 기간동안

돈을 더 바짝 모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지요.

하지만, 잔금지불시에 한꺼번에 지급해야하므로 부담이 될 수도있습니다.


중도금 이자후불제 계산방법 알려드릴께요.

중도금 이자후불제 계산해보시고, 자세한 자금계획을 세워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아파트분양의 경우 계약금 10%, 중도금 50~60%, 잔금 30~40%이지요. 분양가 3억으로 계산해볼께요.


분양가 3억, 계약금 3천만원, 중도금 1억8천만원,

잔금 9천만원으로 중도금을 6회차로 나눠내는 경우로

금리는 3%, 중도금은 2년에 걸쳐 납부해야하는데요.

중도금 6회는 중도금이자는 발생하지않으므로-

4,875,000원의 중도금 이자가 발생합니다.



ref : http://cafe.naver.com/rainup/686628

중도금 총 6쵳차 금액을 모두 지불할 능력이 있으면 대출 안 받아도 됨.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선 중도금 대출 진행 후

각 차수별로 대출을 안 받아도 되는 상황이 되면 은행에 이야기하면 됨.


'그래서 집 사겠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정말?  (0) 2016.02.22
ISA  (0) 2016.01.05
분양권 전매 절차  (0) 2015.12.02
인천 SK sky View 분양권 전매  (0) 2015.12.02
Posted by kissuu
,

http://www.r114.com/z/news/research_txt.asp?only=0&m_=6&g_=&bno=200&num=5434&nkind=7&tabmenu=&rgubun=1&mtkind=2




▣ 분양권 매매금액은 계약금 + 중도금 + 발코니 확장비용 + 프리미엄 
분양권 전매절차는 시공사와 명의변경을 진행하는 과정이므로 분양계약자가 실제 계약자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다. 일반적인 주택매매는 공신력을 갖는 등기부등본에서 주택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지만 분양권 거래 시에는 분양계약서에 명시된 계약자를 믿고 거래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 건설사와 계약을 맺고 계약금과 중도금을 납입했는지 건설사로부터 증명서 발급을 요청하는 것이 안전하다. 분양권 매매계약은 계약서 작성 기준이 다소 까다로워 직거래보다는 믿을만한 공인중개사에게 맡겨 거래하는 것이 수월하다. 



1. 분양권 매매계약서 작성 
매도자와 매수자는 분양권매매계약서를 작성한다. 매매금액은 해당 물건의 총 분양가격이 아닌 매도자가 납부한 계약금 + 중도금 + 프리미엄을 더한 금액이다. 예를 들어 중도금 총 4회차 중 1회까지 납부했다면 중도금 계산은 1회차까지 납부한 금액이다.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를 정할 때에도 동일한 금액 기준으로 산정한다. 분양권매매계약서는 매도인, 매수인, 공인중개사, 은행, 시공사와 공유해야 하므로 총 5부 이상 작성하는 것이 좋다.


2. 개인간의 거래는 "실거래가신고", 증여 또는 공동명의는 "검인날인" 
분양권 전매 계약서 작성이 끝나면 관할 지자체에 방문해 "부동산 거래 계약 신고서"를 작성하고 신고필증을 챙겨야 한다. 분양권 전매는 거래신고 대상이기 때문에 실거래가신고는 필수다. 간편하게 인터넷으로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관할 지자체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서도 할 수 있다. 공인중개사는 실거래가 신고가 의무이기 때문에 공인중개사에게 맡기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관련 서류는 분양권 매매계약서, 분양계약서(발코니확장, 유상옵션 등 관련계약서 포함), 신분증이 필요하다. 반면 증여나 공동명의를 할 경우에는 시·군·구청 관련부서에서 `검인` 날인을 받는다.


3. 은행 대출승계와 상환까지 마쳐야
분양계약자가 은행대출이 있다면 대출받은 은행지점을 매수자와 방문해 대출승계 또는 상환을 진행한다.


4. 시행사(시공사)에서 분양계약서 "명의변경" 서류작업
분양계약서 명의변경은 시행사 또는 시공사에서 진행된다. 명의변경에 필요한 분양계약서 날인은 공사에 참여한 시행사, 시공사, 신탁회사를 대상으로 도장을 받아 권리의무 승계계약을 하는 것이다. 전매업무는 일반적으로 특정 요일에 진행하므로 날짜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일 처리가 빠르다. 



5. 매수자는 분양계약서 수령 
분양계약서 명의변경 처리가 당일 날 이뤄지지 않았다면 매수자는 시공사(모델하우스)를 방문해 명의변경 된 분양계약서를 수령한다. 

6. 매도자 양도소득세 60일 이내 신고 
매도자는 매도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서 의무적으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분양권 양도가액은 실질거래가액인 계약금과 중도금에서 프리미엄을 합한 금액이다. 취득가액은 프리미엄을 제외한 계약금+중도금을 합한 가격이다. 과세표준은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과 필요경비(중개업소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으로 양도소득세율을 적용한다. 양도소득세율은 보유기간1년 미만 단기 거래 50%, 2년 미만40%, 2년 이상 과세표준에 따라 6~38% 차등 적용된다. 

▣ 분양권 불법전매, 다운계약서 유혹에 넘어가지 말 것! 
분양권 거래 시에 주의할 점은 아파트 청약 때 잠깐 분양권 거래를 유도하는 떴다방(이동식중개업소) 공인중개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떴다방은 청약당첨자에게 프리미엄을 주고 매입해 웃돈을 붙여 다시 되파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분양권 전매금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과열된 청약시장을 이용해 불법분양권 매입을 부추겨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당첨자와 떴다방이 공모해 분양권 가격을 조작하거나 프리미엄만 받고 계약 기간에 건설사와 계약하지 않고 잠적하는 등의 불법행위를 조장할 수 있다. 

분양권 불법전매는 전매제한이 풀리는 시점에 명의이전 조건으로 계약서를 공증하는 방식이다. 입주 후 전매가 풀리는 단지는 매도자 명의로 등기 한 후 바로 소유권이전을 넘기는 "복등기" 방식으로 진행한다. 매도자는 양도소득세를 매수자에게 전가시키고 매수자는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운계약서를 요구한다.

불법전매를 할 경우 매도자와 매수자, 공인중개사 모두 주택법에 의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 원의 벌금을 받는다. 분양권 매수자는 분양계약서가 취소돼 프리미엄을 회수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다운계약서 적발은 매도인과 매수자 모두 신고불성실 가산세를 지불하게 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EX1]

http://blog.naver.com/dunsan114/220527868177


(0) 사전조건

 - 분양계약 체결


[전매 절차]

(1) 분양권 매매 계약서 작성


(2) 실거래 신고 또는 검인

 -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수령


(3) 중도금 대출 승계 또는 상환


(4) 명의변경 (권리 / 의무 승계)



(5) 양도소득세 신고

 - 명의변경 후 기간 내 양도세(2개월) 및 증여세(3개월) 신고

  --> 거주지 관할 세무서




[EX2]

http://blog.naver.com/ymjno1123/220510680421




'그래서 집 사겠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정말?  (0) 2016.02.22
ISA  (0) 2016.01.05
중도금 이자 후불제  (0) 2015.12.07
인천 SK sky View 분양권 전매  (0) 2015.12.02
Posted by kissuu
,
1. 사전예약
2. 전매 계약 체결
 - 명의 변경에 의한 사전 계약체결 
 - 계약서 작성(총 3부)
 
(1) 매매

(2)증여


3. 신고

 - 구청 신고

  ex) 인천남구청 토지정보과(부동산 팀) 

 - 분양계약서 원본, 매매계약서 또는 증여계약서 원본 지참

 - 매매시 부동산거래계약신고서 작성(양도, 양수인 도장 날인)

 (1) 매매시

  - 부동산거래계약신고필증 수령


 (2) 증여시

  - 증여계약서(검인날일) 수령



**참고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203&docId=163648499&qb=67aE7JaR6raMIOyghOunpCDspp3sl6w=&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SDJIjwoRR2Kssc6HZvssssssssN-087645&sid=bjvJnDu6rAavP6mBHdgVMg%3D%3D

질문) 어떤 방법이 세금이며, 절차상으로 유리한지(간소한방법) 궁금합니다.

답변) 매매로 하면 세금 없고, 증여로 하면 증여세 내야 합니다. 절차상 거의 같으나 증여로 하면 서류가 더 많이 필요 하므로 매매로 하는것이 좋습니다.


질문) 그리고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서류는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매매계약서로 하면 부동산거래신고, 증여로 하면 부동산증여계약서 검인을 받아야 합니다. 

시.군.구청 부동산관련 부서에 가서 신고해야 합니다.

1. 분양권 매매계약서 작성 : 매매금액은 중도금 지급한 금액까지 포함하면 됩니다.

- 특약사항에 "매매금액은 중도금 2회까지 납입한 금액이며, 중도금 3차는 매수인이 부담한다"

- 분양권 프리미엄은 없으며, 분양가와 동일한 금액으로 매매한다. (프리미엄이 있으면 시아버님이 양도세를 내야 합니다) 

- 매매계약서 작성하고, 시.군.구청 부동산관련 부서를 방문해 부동산거래신고를 하면 신고필증을 교부해 줍니다. 서류는 매매계약서, 신분증, 도장 입니다.

2. 분양권 매매 잔금날 아파트 분양회사를 방문해 분양권 명의변경 신청 하면 됩니다.

- 매도인서류 : 부동산명의 이전용 인감증명서(매수자 인적사항기록), 초본(전주소지 나오게 발급), 인감도장, 신분증, 부동산거래 신고필증, 아파트분양계약서

 - 매수인서류 : 신분증, 등본1통, 아무도장

 3. 분양권명의변경 신청이 끝났으면, 중도금 대출은행 지점을 함께 방문하면 됩니다. 대출 인지대금 15만원 필요 합니다.

 - 매도인서류 : 신분증, 아무도장

 - 매수인서류 : 아파트분양계약서, 인감증명서2통, 인감도장, 신분증, 등본1통

 4. 분양권 명의변경신청과 중도금대출 채무자변경신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분양권 매매는 종료 됩니다. 





[수수료]

http://blog.naver.com/hakamyungga/220409175552



(1) 예제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203&docId=165407682&qb=67aE7JaR6raMIOyghOunpCDsiJjsiJjro4w=&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DJJPdoRR2Zsscio4ZKsssssssw-251380&sid=bjvJnDu6rAavP6mBHdgVMg%3D%3D

주택분양권 거래시 중개수수료 산출 근거가 되는 거래금액은 분양대금 중 거래당시까지 매도인이 납부한 계약금 및 중도금에 프리미엄을 합산한 금액이 되고 미납 중도금 및 잔금은 제외됩니다.


분양권전매시 주택의 매매 수수료요율이 적용되며 거래금액에 따른 중개수수료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ㅁ 5천만원 미만 : 0.6%(한도 250,000원)
ㅁ 5천만원 이상 2억원 미만 : 0.5%(한도 800,000원)

ㅁ 2억원 이상 6억원 미만 : 0.4%
ㅁ 6억원 이상 : 0.9% 이내에서 당사자간 협의결정

 

거래금액이 2억원 이상 6억원 미만이라면 매도인과 매수인이 각각 0.4%의 수수료를 지불하여야 합니다.



(2)

1. 시험문제도 나온 분양권 전매 입니다.

    분양권 전매의 경우에는 그 당시의 거래금액으로만 받아야 합니다.

    잔금까지 치르지 않았다면 계약금, 중도금, 프리미엄까지만 계산을 해야 합니다.

    총 분양대금으로 계산하면 총 맞는다고 했는데, 학교 가고 싶으면 그렇게 청구할 것입니다.

    계속 달라고 하면 주고 신고하면 사무소 문 닫습니다.

    그렇게 문 닫게는 하지 마시고 그냥 법정중개수수료만 주면 됩니다.

 

2. ex) 52,150,000원이면 0.5%(5천 이상 ~ 2억 미만, 한도액 80만원)인 26만원이 맞습니다.


'그래서 집 사겠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정말?  (0) 2016.02.22
ISA  (0) 2016.01.05
중도금 이자 후불제  (0) 2015.12.07
분양권 전매 절차  (0) 2015.12.02
Posted by kissuu
,

[VI]Settings

잘좀하자 개발 2015. 9. 1. 10:05

http://www.lagmonster.org/docs/vi2.html

VI Settings


--noto

Note: Options given are default. To change them, enter type :set option to turn them on or :set nooptioni to turn them off.To make them execute every time you open VI, create a file in your HOME directory called .exrc and type the options without the colon (:) preceding the option
SetDefaultDescription
:set ainoaiTurns on auto indentation
:set all--Prints all options to the screen
:set apawPrints line after d c J m :s t u commands
:set awnoawAutomatic write on :n ! e# ^^ :rew ^} :tag
:set bfnobfDiscards control characters from input
:set dir=tmpdir = /tmpSets tmp to directory or buffer file
:set ebnoedPrecedes error messages with a bell
:set ednoedPrecedes error messages with a bell
:set ht=ht = 8Sets terminal hardware tabs
:set icnoicIgnores case when searching
:set lispnolispModifies brackets for Lisp compatibility.
:set listnolistShows tabs (^l) and end of line ($)
:set magicmagicAllows pattern matching with special characters
:set mesgmesgAllows others to send messages
:set nooptionTurns off option
:set nunonuShows line numbers
:set optoptSpeeds output; eliminates automatic RETURN
:set para=para = LIlPLPPPQPbpPmacro names that start paragraphs for { and } operators
:set promptpromptPrompts for command input with :
:set renoreSimulates smart terminal on dumb terminal
:set remapremapAccept macros within macros
:set reportnoreportIndicates largest size of changes reported on status line
:set ronoroChanges file type to "read only"
:set scroll=nscroll = 11set n lines for CTRL-d and z
:set sh=shell_pathsh = /bin/shset shell escape (default is /bin/sh) to shell_path
:set showmodenosmIndicates input or replace mode at bottom
:set slowslowPospone display updates during inserts
:set smnosmShow matching { or ( as ) or } is typed
:set sw=nsw = 8Sets shift width to n characters
:set tags=xtags = /usr/lib/tagsPath for files checked for tags (current directory included in default)
:set term$TERMPrints terminal type
:set tersenoterseShorten messages with terse
:set timeoutEliminates one-second time limit for macros
:set tl=ntl = 0Sets significance of tags beyond n characters (0 means all)
:set ts=nts = 8Sets tab stops to n for text input
:set wanowaInhibits normal checks before write commands
:set warnwarnWarns "no write since last change"
:set window=nwindow = nSets number of lines in a text window to n
:set wm=nwm = 0Sets automatic wraparound n spaces from right margin.
:set wswsSets automatic wraparound n spaces from right margin.



'잘좀하자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주석  (0) 2016.06.30
[TERM] Front-end & Back-end  (0) 2016.02.22
[Google]Cloud Test Lab  (0) 2016.02.01
[PHP] OOP로 다가가자 - eclipse PDT include path 하기  (0) 2015.08.18
Regular Expression  (0) 2015.07.04
Posted by kissuu
,

Programmer? Soft engineer?

In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꿈꾸다.

 

개발의 정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 또는 마음먹는냐에 따라 다르다.

개발이 coding만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 programmer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빌드 - 테스트까기 개발이라고 생각한다면 --> SW enginner

Posted by kissuu
,